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: 홍동백서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기 팁

by 율리319 2025. 1. 13.
반응형

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: 홍동백서의 의미와 차례상 차리기 팁

설날은 한국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, 가족이 모여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며 차례를 지내는 날입니다. 이때 차례상 차리기는 설날의 핵심적인 의식 중 하나로, 정성을 담아 음식을 준비하고 올바르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, *홍동백서(紅東白西)*와 같은 전통적인 배치 규칙은 차례상을 올바르게 차리는 데 필수적인 원칙입니다. 이 글에서는 홍동백서의 의미와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쉽고 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
 

 

1. 홍동백서란?

홍동백서는 차례상 위에 음식을 놓을 때의 전통적인 배치 원칙을 뜻합니다.

  • 홍(紅): 붉은색 음식(예: 고기, 생선)은 상의 동쪽(오른쪽)에 놓습니다.
  • 백(白): 흰색 음식(예: 두부, 생선류)은 상의 서쪽(왼쪽)에 놓습니다.

이 원칙은 음양오행 사상을 반영한 것으로, 자연의 균형과 조화를 상징합니다.

 

2. 설날 차례상 기본 구성

차례상은 보통 다섯 줄로 구성되며, 각 줄에는 고유의 의미와 음식이 배치됩니다.

(1) 첫째 줄: 과일과 포

  • 배치 원칙: 홍동백서에 따라 붉은색 과일(사과, 대추)은 동쪽, 흰색 과일(배)은 서쪽에 둡니다.
  • 과일 종류: 사과, 배, 감, 밤 등.
  • : 육포나 어포를 함께 올리며, 보통 과일 앞쪽에 놓습니다.

(2) 둘째 줄: 전(煎)과 부침류

  • 배치 원칙: 고기전(붉은색)은 동쪽, 생선전(흰색)은 서쪽에 놓습니다.
  • 종류: 동태전, 애호박전, 동그랑땡 등 다양한 전을 준비합니다.
반응형

(3) 셋째 줄: 탕류

  • 배치 원칙: 여러 종류의 탕(육탕, 어탕, 채소탕)을 가운데로 배치합니다.
  • 종류: 고기탕, 생선탕, 두부탕 등. 보통 세 가지 탕을 올리는 것이 전통입니다.

(4) 넷째 줄: 고기와 나물

  • 배치 원칙: 나물류는 색에 따라 배치하고, 고기는 홍동백서를 따릅니다.
  • 종류: 시금치나물, 고사리나물, 도라지나물과 고기구이

(5) 다섯째 줄: 밥, 국, 술

  • 배치 원칙: 밥과 국은 중앙에 놓고, 술은 차례상 아래쪽에 둡니다.
  • 특징: 흰밥과 맑은 국(보통 미역국이나 맑은 탕)을 준비합니다.

 

3. 설날 차례상 차리는 팁

  • 차례상의 동쪽서쪽은 상을 차린 사람의 기준이 아니라, 조상님이 보시는 방향을 기준으로 합니다. 이를 염두에 두고 홍동백서를 적용하세요.
  • 홀수의 원칙: 음식을 담을 때 보통 홀수(3, 5, 7)를 기준으로 배치합니다. 이는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
  • 제수용 음식 준비: 상에 올리는 음식은 일반적인 식사용 음식과 달리 간을 심하게 하지 않으며, 마늘이나 고춧가루와 같은 강한 양념은 피합니다.
반응형